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13

25. 대규모 트래픽 해결방법 25. 대규모 트래픽 해결방법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서버 과부하란? 서버에 접속하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 이럴 경우 서버의 성능이 저하된다 500 번 대 에러 메세지가 뜬 모니터링 서버 과부하의 원인은 정말 많지만, 그 중에 하나가 자원의 한계점 도달이다 즉 CPU 같은 자원의 사용량이 한계점에 도달했거나, 메모리가 부족할 때 서버 과부하 상태가 된다 그래서 자원들을 모니터링 하면서, 적절하게 용량을 할당을 시켜줄 수 있다 AWS 오토스케일링 cloud watch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자동으로 자원의 용량을 조정한다 예) 메모리, GPU, CPU 증가 그 외에 서버를 모니터링 하며, 자원의 용량을 할당시켜준다 모니터링을 .. 2023. 3. 10.
24. 유선/무선 LAN 24. 유선/무선 LAN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유선 LAN 전이중화 통신 (Full Duplex) 송신하는 경로, 수신하는 경로가 따로 나뉘어져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현재 사용하는 통신 방법이다 IEEE 802.3이라는 프로토콜을 따른다 근거리 통신망 기술이다 CSMA/CD 반이중화 통신을 사용한다 송신 또는 수신 경로가 딱 하나 밖에 없다 즉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끼리 충돌이 일어났다 충돌이 일어나면, 데이터를 보낼 수 없다 그래서 중간에 충돌이 일어나면, 일정 시간 이후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식이다 유선 LAN을 이루는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구리선을 두 개씩 꼬아서 묶은 케이블이다 구리선을 실드 처리하면 STP, 안 하면 UTP라고 한다 흔히 LAN 케이.. 2023. 3. 9.
23.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 23.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네트워크 기기는 각 계층별로 나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계층 : L7 스위치 전송 계층 : L4 스위치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계층) : 라우터 L3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 : L2 스위치, 브리지 물리 계층 : NIC, 리피터, AP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하다 어플리케이션 계층 L7 스위치 L7 스위치는 로드밸런서라고도 한다 로드밸런서는 URL, 서버, 캐시, 쿠키들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그리고 바이러스나 불필요한 외부 데이터를 필터링을 한다 헬스 체크를 주기적으로 하여 정상적인 서버 또는 비정상적인 서버를 판별한다 헬스 체크는 L4 스위치에서도 한다 로드.. 2023. 3. 9.
22. HTTP [상태코드, 메서드, REST API] 22. HTTP [상태코드, 메서드, REST API]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HTTP 상태코드 서버의 응답을 나타내는 HTTP 상태코드다 1XX (정보) 서버가 요청을 잘 받았다는 것을 의미 100 : 상태가 괜찮으며 클라이언트가 계속해서 요청하거나 요청이 완료된 경우에는 무시해도 된다는 정보를 알려줌 2XX (성공) 서버가 요청을 잘 받고, 응답까지 클라이언트에게 잘 했다는 것 200 OK : 요청이 성공적 201 Created : 요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다는 것 3XX (리다이렉션) 서버가 클라이언트에서, 추가적인 작업을 요청하는 것 301 Moved_Permanently :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변경되었다는 4XX (클라이언.. 2023. 3. 8.
21. 로그인 [세션 기반 인증 방식, 토큰 기반 인증 방식] 21. 로그인 [세션 기반 인증 방식, 토큰 기반 인증 방식]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세션 기반 인증 방식 HTTP의 특징 중 하나는 stateless 한 것이다 위의 그림처럼 한번 요청하고 응답한 사항은, 추후에 다시 요청을 받을 때, 서버에서 기억을 못 한다 즉, 원래는 한번 로그인 했다고 로그인 상태를 유지 시켜주지 않는다 그래서 유저들의 UX을 위해서 사용자들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 세션을 유지해야 한다 세션 (Session) : 사용자가 인증을 할 때, 서버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클라이언트가 로그인을 요청하면, 서버에서 쿠키에 세션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해준다 set-cookie : SESSIONID = XXXXXXXXXXXXXXXXX.. 2023. 3. 7.
17. 라우팅 17. 라우팅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라우팅이란? 라우팅은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다 더 나아가 라우팅은, 데이터를 보낼 때에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준다 예) 네비게이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에는 수 많은 노드들이 존재를 한다 그 수 많은 노드들을 거쳐가는데, 최적의 경로를 찾아야 데이터를 더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다 이것을 라우팅이라 하고, 라우터는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주는 기기이다 라우팅 테이블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라우팅 테이블은 네트워크 연결이 포함 되어 있는 리스트다 라우팅 테이블은 IP주소를 기반으로 사용된다 라우팅 테이블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 2023. 3. 1.
13. TCP/IP [전송 계층 in detail] 13. TCP/IP [전송 계층 in detail]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전송 계층 (Transport) 응용 계층에서 받은 메세지를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다 세그먼트 : TCP 데이터그램 : UDP 데이터가 송신 될 때에는, 목적지에 도착한다는 보장이 없다 (중간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전송 계층에는 TCP와 UDP가 있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 말 그대로 가상으로 회선을 만든 후, 그 경로대로 패킷을 순서대로 보낸다 TCP는 체크섬을 통해 오류를 검사하고, 데이터가 처음부터 끝까지 제대로 송신이 되었는지 확인을 한다 TCP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중, 측정 시간 동안.. 2023. 2. 24.
12. TCP/IP [응용 계층] TCP/IP [응용 계층]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응용 계층 (Application) 데이터를 송수신 할 때에 메세지 역할을 한다 즉 실제 유저들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층이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 노드와 노드간에 파일을 전송할 때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최근에는 파일을 암호화하여 전송을 한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버와 브라우저 간의 또는 서버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header 확장이 가능하고, stateless하다 HTTP Header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 또는 응답으로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 메세지 바디 내용, 메세지 바디.. 2023. 2. 24.
11. TCP/IP [MTU, MSS, PMTUD] TCP/IP [MTU, MSS, PMTUD] 출처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책 / 강의)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데이터를 송수신 할 때에, 패킷으로 쪼개진다 그리고 쪼개질 때에는 MTU 기반으로 쪼개진다 MTU 기반으로 쪼개진다는 것은, 패킷이 쪼개질 때에, 쪼개질 수 있는 최대의 크기를 뜻한다 즉 패킷이 MTU 보다 더 크면, 중간에 패킷이 더 쪼개지거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라우터 1에서 한번 더 쪼개서 라우터 2를 통해서 송신을 할 수 있다 또는 아예 송신할 때에 1000, 500, 500으로 나누어서 송신할 수 있다 MSS Maximum Segment Size MTU 는 IP헤더와 TCP헤더 크기까지 다 합쳐서 1500바이트까지 제한을 둔다 반.. 2023.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