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Boot24

AWS S3 스프링에 적용하기 - 1 AWS S3란?-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로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업계 최고의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및 보안과 성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에,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AWS S3를 프로젝트에서 사용데이터를 S3에 저장할 때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S3 URI를 제공한다.예시) s3://master-car-application/de8265e3b2984913bbe01cd53733317f_1607146775.jpg위의 뒷부분은 객체의 key라고 볼 수 있다.해당 key를 통해 프로젝트에서 S3에 저장된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기본 로직 (DB에 저장)클라이언트에서 MultipartFile을 통해 파일을 가지고 온다해.. 2024. 5. 27.
AWS S3 스프링에 적용하기 - 2 AWS S3란?-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로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업계 최고의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및 보안과 성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에,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AWS S3를 프로젝트에서 사용데이터를 S3에 저장할 때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S3 URI를 제공한다.예시) s3://master-car-application/de8265e3b2984913bbe01cd53733317f_1607146775.jpg위의 뒷부분은 객체의 key라고 볼 수 있다.해당 key를 통해 프로젝트에서 S3에 저장된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기본 로직 (DB에 저장)클라이언트에서 MultipartFile을 통해 파일을 가지고 온다해.. 2024. 5. 27.
[USports] Member OAuth2 [USports] Member OAuth2 Member를 만들고, 간편 인증이 필요할 것 같아 OAuth2를 사용하였다 그 중에 카카오 간편 로그인을 먼저 사용했다 OAuth란? 항상 간편 로그인을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줄 알았다 OAuth를 공부하면서 느낀 것 Resource Server, 즉 카카오나 네이버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미 회원가입을 한 어플리케이션에서, Client, 내 어플리케이션에게 자신들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것이라고 크게 느꼈다 Resource Owner : 자원을 소유하는 사람 (예. 유저들) Resource Server : Resource Owner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 (예. 카카오, 네이버) Client : Resource Server에 저장되어 .. 2023. 12. 9.
[MovMag] WebClient [MovMag] WebClient 처음에는 외부 API를 통해서 JSON 파일로 파싱을 해서 데이터를 가지고 왔다 RestTemplate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추천 받았다 하지만, Spring 문서에서는 Spring 5.0에서부터는 RestTemplate보다는 WebClient를 사용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NOTE: As of 5.0 this class is in maintenance mode, with only minor requests for changes and bugs to be accepted going forward. Please, consider using the org.springframework.web.reactive.client.WebClient which has a more modern A.. 2023. 11. 6.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3장. 서비스의 인증과 권한 부여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3장. 서비스의 인증과 권한 부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유저들이 인증과 인가를 해야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개발하게 된다 즉 보안 기능을 추가 해야 한다는 것이고, 보안을 위해서는 스프링에서 Spring Security가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인가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스프링 하위 프로젝트 중 하나 보안 관련된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보안 용어 이해 인증 (Authentication)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단계다 (로그인) 확인이 되면, 서버는 유저에게 토큰을 전달한다 이 토큰을 이용하여, 유저는 원하는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인가 (Authorization) 인증된 토큰, 즉 검증된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2023. 10. 14.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2장. 서버 간 통신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2장. 서버 간 통신 최근 서비스들은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MSA)를 주로 채택하고 있다 이 뜻은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 (서비스)이 하나의 비즈니스 범위만 가지는 형태이다 이런 MSA를 도와주는 RestTemplate과 WebCilent가 있다 RestTemplate이란? 스프링에서 HTTP 통신 기능을 손쉽게 사용하도록 설계된 템플릿이다 서버와의 통신을 단순화한 템플릿을 사용하여 RESTful 원칙을 따르는 서비스를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동기 방식이고, 비동기 방식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AsyncRestTemplate을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RestTemplate은 중단된 상태라서 WebClient 방식도 .. 2023. 10. 8.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1장. 액추에이터 활용하기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1장. 액추에이터 활용하기 스프링 부트 액추에이터는 HTTP 엔드포인트나 JMX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JMX (Java Management Extensions)는 자바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해주는 API다 MBeans (Managed Beans)를 생성해야 한다 아래와 같이 spring-boot-starter-actuator 모듈의 종속성을 추가한다 SwaggerConfiguration 클래스를 가져오고 그에 따른 의존성을 추가해야 한다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actuator 엔드포인트 Act.. 2023. 10. 8.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0장. 유효성 검사와 예외 처리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0장. 유효성 검사와 예외 처리 어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이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사전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것을 유효성 검사 또는 데이터 검증이라고 한다 유효성 검사는 Validation으로 프로그래밍에서 매주 중요한 부분이고, 자바에서 가장 신경 써야 하는 것 중 하나가 NullPointException 예외이다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유효성 검사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검증 로직에서, 계층별로 진행하게 되면 각 클래스별로 분산되어 있어 관리하기 어렵고, 검증 로직에 중복이 많아 유사한 기능의 코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검증해야 할 값이 많으면, 코드가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 2023. 10. 1.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9장. 연관 관계 매핑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9장. 연관 관계 매핑 RDBMS를 사용할 때에 한 테이블을 가지고 모든 기능을 구현하기 불가능 하다 즉 여러 테이블을 이용하고, 연결하여 기능을 구현한다 One To One : 일대일 (1:1) One To Many : 일대다 (1:N) Many To One : 다대일 (N:1) Many To Many : 다대다 (N:M) 일대일 매핑 일대일 단방향 매핑 @Entity @Table(name="MEMBER")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mem.. 202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