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프링부트28

AWS S3 스프링에 적용하기 - 1 AWS S3란?-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로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업계 최고의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및 보안과 성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에,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AWS S3를 프로젝트에서 사용데이터를 S3에 저장할 때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S3 URI를 제공한다.예시) s3://master-car-application/de8265e3b2984913bbe01cd53733317f_1607146775.jpg위의 뒷부분은 객체의 key라고 볼 수 있다.해당 key를 통해 프로젝트에서 S3에 저장된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기본 로직 (DB에 저장)클라이언트에서 MultipartFile을 통해 파일을 가지고 온다해.. 2024. 5. 27.
AWS S3 스프링에 적용하기 - 2 AWS S3란?-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로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업계 최고의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및 보안과 성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에,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AWS S3를 프로젝트에서 사용데이터를 S3에 저장할 때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S3 URI를 제공한다.예시) s3://master-car-application/de8265e3b2984913bbe01cd53733317f_1607146775.jpg위의 뒷부분은 객체의 key라고 볼 수 있다.해당 key를 통해 프로젝트에서 S3에 저장된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기본 로직 (DB에 저장)클라이언트에서 MultipartFile을 통해 파일을 가지고 온다해.. 2024. 5. 27.
[USports] Member 단위 테스트 [USports] Member 단위 테스트 Mock 서비스를 테스트 할 때에 필요한 외부 클래스들을 넣었다 repository, passwordEncoder 등 MemberServiceImpl에 넣었던 클래스들을 Mock으로 넘겼다 InjectMocks Mock으로 설정했던 클래스들을 MemberServiceImpl에 넣는 것이다 Nested 테스트들을 단위별로 묶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 테스트, 회원가입 테스트 별로 나누고, 그 안에 성공 케이스와 실패 케이스를 넣을 수 있다 when, thenReturn 주로 메서드 내에 repository를 사용하던지, 또는 Mock으로 설정된 클래스를 사용할 때에 when을 사용한다. 그리고 thenReturn을 통해서 when에서 불러온 메서드를 통해 어.. 2023. 12. 7.
[USports] Email 전송 [USports] Email 전송 프로젝트에서 이메일 인증과, 임시 비밀번호를 이메일을 통해 는 것이 있다 구글 SMTP 서버를 이용하였다프로젝트 용 이메일을 새로 만들고, 프로젝트를 위해, 원래 비밀번호가 아닌, 프로젝트 용 비밀번호를 개인 설정에서 받을 수 있다 하기 전에 2차 인증까지 설정을 해야 한다! Google 계정 관리에 들어가기검색에서 앱 비밀번호를 치고, 들어가기그러면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뜬다 App Name에 어플리케이션 이름 입력하기 앱 비밀번호를 받고, 꼭 복사하기 (잊어버리면, 또 다시 앱을 입력해야 한다)그리고 외부에 노출하지 말기! Gmail의 설정에 들어가서 전달 및 POP/IMAP에 들어가기 아래와 같이 설정하기  build.gradle아래 추가implementati.. 2023. 12. 6.
[USports] Login 구현 [USports] Login 구현 MemberController 로그인 로그인을 하면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받게 된다 MemberDto에 UserDetail을 넣어 활용했다 memberService.loginMember()에서는 간단하게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그리고 유저가 DB에 존재하는 확인하면 된다 확인 후 MemberDto를 리턴하고, tokenProvider.saveTokenInRedis() 를 진행한다 재발급 access token이 만료되었을 경우 reissue, 재발급을 통해 refresh token과 access token을 받게 된다 tokenProvider.regenerateToken(refreshToken) 을 통해 재발급을 진행 로그아웃 로그아웃을 하면.. 2023. 12. 5.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3장. 서비스의 인증과 권한 부여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3장. 서비스의 인증과 권한 부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유저들이 인증과 인가를 해야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개발하게 된다 즉 보안 기능을 추가 해야 한다는 것이고, 보안을 위해서는 스프링에서 Spring Security가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인가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스프링 하위 프로젝트 중 하나 보안 관련된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보안 용어 이해 인증 (Authentication)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단계다 (로그인) 확인이 되면, 서버는 유저에게 토큰을 전달한다 이 토큰을 이용하여, 유저는 원하는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인가 (Authorization) 인증된 토큰, 즉 검증된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2023. 10. 14.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2장. 서버 간 통신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2장. 서버 간 통신 최근 서비스들은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MSA)를 주로 채택하고 있다 이 뜻은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 (서비스)이 하나의 비즈니스 범위만 가지는 형태이다 이런 MSA를 도와주는 RestTemplate과 WebCilent가 있다 RestTemplate이란? 스프링에서 HTTP 통신 기능을 손쉽게 사용하도록 설계된 템플릿이다 서버와의 통신을 단순화한 템플릿을 사용하여 RESTful 원칙을 따르는 서비스를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동기 방식이고, 비동기 방식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AsyncRestTemplate을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RestTemplate은 중단된 상태라서 WebClient 방식도 .. 2023. 10. 8.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1장. 액추에이터 활용하기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1장. 액추에이터 활용하기 스프링 부트 액추에이터는 HTTP 엔드포인트나 JMX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JMX (Java Management Extensions)는 자바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해주는 API다 MBeans (Managed Beans)를 생성해야 한다 아래와 같이 spring-boot-starter-actuator 모듈의 종속성을 추가한다 SwaggerConfiguration 클래스를 가져오고 그에 따른 의존성을 추가해야 한다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actuator 엔드포인트 Act.. 2023. 10. 8.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0장. 유효성 검사와 예외 처리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ter 10장. 유효성 검사와 예외 처리 어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이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사전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것을 유효성 검사 또는 데이터 검증이라고 한다 유효성 검사는 Validation으로 프로그래밍에서 매주 중요한 부분이고, 자바에서 가장 신경 써야 하는 것 중 하나가 NullPointException 예외이다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유효성 검사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검증 로직에서, 계층별로 진행하게 되면 각 클래스별로 분산되어 있어 관리하기 어렵고, 검증 로직에 중복이 많아 유사한 기능의 코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검증해야 할 값이 많으면, 코드가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 2023. 10. 1.